붉은 오름을 갑니다.
행정구역으로는 광령리에 속하는데
항파두리로 부터는 직선거리로 남동쪽 10km정도 됩니다.
그래서 인지 삼별초군이 여몽연합군과의 최후의 항전을 한 곳이랍니다.
부대는 전멸하고 김통정은 자결하였다 하는데
이 때 흘린 피가 오름자락을 붉게 물들였다하여 붉은 오름이라고 부른다 합니다만
제주향토문화대전에는 이곳 붉은 오름이라는 이름도 다른 곳의 붉은오름과 같이
오름을 덮고 있는 송이와 흙이 붉다는 데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한자로는 赤岳 또는 土赤岳이라고 표기합니다.
역사에 보다 충실하려면 목호의 난을 들어야 합니다.
목호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1374년(고려 공민왕 23년)에
전함 314척과 군 25,600명을 거느리고 제주도로 출정한 최영장군의 부대가
명월포로 상륙하여 어름비(현재의 애월읍 어음리)지경,
금물오름(今勿吾音, 현재의 한립읍 금악리) 지경,
새별오름 지경을 거쳐
이곳 밝은오름(당시의 명칭 明近吾音)지경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이게 됩니다.
목호라고 하는 저항세력들의 피가 내를 이루고 뇌와 간이 들을 덮습니다.
(그래서 후일 明岳이 赤岳으로 바뀝니다, 제주어로는 유사한 발음이지요)
결국 큰 피해를 입은 목호세력은 연래(延來: 현 猊來)지경,
홍로(烘爐: 현 西歸)지경에 이어지는 치열한 전투를 게속하였으나
범섬앞 해변과 범섬에서 최후를 맞이하게 됩니다.
사설 생략하고...
1100도로변 고상돈 기념비 북쪽 표고밭 진입도로로 들어가기도 하지만
오늘은 노리오름길을 따라가다 계곡을 건너 올라갑니다.
표고는 1,061m이지만 막상 비고는 130m뿐이 않됩니다.
능성이가 가파르긴 해도
올라가기 그리 어렵지 않으니 즐거운 산행입니다.
봉숭아 정태춘 박은옥
'제주이야기 > 오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악(골른, 갈른오름) 화순곶자왈 (0) | 2011.08.05 |
---|---|
지그리와 바농에서 (0) | 2011.08.05 |
구두리오름 (0) | 2011.07.03 |
물영아리 (1) | 2011.07.02 |
한라산 진달래 (영실-남벽-돈내코) 5 (0) | 2011.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