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7호선 장암역 부근 관광안내도입니다.
서계 박세당과 그 가족들과 관련된 유지가 일대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하석 박정이 인조반정에 참여한 공로로 이 일대 너른 땅을 사패지로 받았고
박정의 네째 아들인 박세당은 이 지역에서 태어나 어렸을때부터 이곳에서 살았습니다.
박세당은 벼슬에서 물러난 후에도 이곳에서 계속 학문을 연구하다가
1703년 돌아가시니 향년 75세 였습니다.
그 이후 계속 이 지역은 박세당의 후손들이 살고 있습니다.
동네이름인 장암동이 바로 박세당의 동네라는 것을 의미하던 것이 변음된 것이지요.
장암동은 과거에는 양주목 관할로서 공식 명칭은 장재울[장자동(長者洞)]이었습니다.
장자동은 덕인장자(德人長者)가 사는 마을이라는 의미인데,
덕인장자란 바로 서계 박세당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박세당의 사랑채로 갑니다.
약 450년이 되었다는 은행나무 넘어로 사랑채가 보입니다
82년 지정할 때 420년이 되었다라고 쓰였으니 지금은 나이를 더 먹어서 450년이 되었지요...
약 200여년이 넘었다는 서계선생이 기거했다는 사랑채입니다.
그외 건물들은 전쟁시에 거의 소실되었다고 합니다.
이 사랑채도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 93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만
건물 좌측면은 새로이 보수한 흔적이 명확합니다.
전기관리 잘못으로 일부가 불에 탔었다고 하는데
굳이 사진을 찍을 필요가 없어서 패쓰합니다만
불에 다 타 없어졌다면
박세당이 관직에서 물러나 농사를 지으며 저술과 제자양성에 매진 했던 흔적이 없어지는 것이지요.
서계 박세당은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입니다.
성리학에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주자학 일변도의 경전해석에 머물지 않고 노장학을 넘나드는
폭넓은 학문의 세계를 지향한 학자라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그의 글집 " 서계집", 별도의 단행본으로 묶인 " 사변록 " " 신주도덕경" 등은
그의 학문세계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저작입니다.
그의 정밀하고 분석적인 연구방법은 유학분야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었고
그가 저술한 농서 " 색경"은 조선시대 농서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그외 " 서계잡록 "도 그의 학문의 깊음을 알게 해주는 문집입니다.
서계 박세당선생에 대해서는 " 서계문화재단"의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원형이 보전된 사랑채 전면부분 사진을 몇장 찍으며 영진각으로 갑니다.
영진각앞 현판에는 서계박선생영진각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영진각
이곳에 있는 안내판에 의하면
영정 두점 모두 박세당의 아버지 박정의 초상화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박정은 1615년(광해군 7)에 진사시에 입격하고 1619년(광해군 11) 정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습니다.
아버지 박동선이 인목대비 폐모론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양사의 탄핵을 받고 유배되자,
그도 역시 관직에서 사직하고 시골로 내려가 있었습니다.
1623년 인조반정에 참여해 정사공신 3등에 책록되고, 2년 뒤엔 금주군(錦洲君)에 봉해졌고
그 후 출세길을 달리다가 1927~8년 경 붕당을 만들어 자기파를 천거했다는 탄핵을 받고 좌천되어
남원부사가 되었습니다.
인조반정 이후 소서파(小西派)의 핵심 인물로 말을 과감하게 한다는 칭찬이 있었으나,
급하고 곧은 뜻이 지나쳐 자기 의견만을 주장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영정 두점 중 좌측의 녹색 관복을 입은 영정은 박정선생이고
우측 영정은 박세당 선생의 영정인 듯이 보이는데...
안내문의 재검토가 필요한 듯 합니다.
다시 한번 박세당의 사랑채 여기저기를 둘러봅니다
계곡을 거슬러 올라갑니다.
계곡에 쓰러져가는 정자는 궤산정입니다.
서계 박세당 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난후 제자들을 가르치며 풍류를 즐기기 위해 지은 정자 였다고 합니다
아래 바위에는 석천동이란 글이 새겨져 있습니다.
그 옆 바위에는 취승대란 글이 새겨져 있습니다.
청풍정이란 정자가 있던 곳입니다.
매월당 김시습을 기리기 위해 지었던 정자 라고 하는데
지금은 주춧돌만 남아있습니다.
받친것 없으니 역할도 없이 그냥 공허하게 눈을 맞고 있는 주춧돌을
멍하니 바라봅니다.
'如是我見 寫而不作 > 블로거기자단팸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정부시 용현동 정문부장군 묘와 충덕사 (0) | 2013.12.28 |
---|---|
의정부시 장암동 노강서원 (0) | 2013.12.28 |
의정부 성당 (0) | 2013.12.27 |
의정부시에서 전하는 Seasons Greeting!! (0) | 2013.12.27 |
공주 진날산 창벽전망대 (0) | 2013.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