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주사는
신라 문성왕 16년(854년)에 창건된 갈양사로써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후 폐사되었다가
조선시대 제22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절을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습니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부왕에 의해 뒤주에 갇힌 채 8일만에 숨을 거둔 사도세자의 영혼이 구천을 맴도는 것 같아 괴로워 하던 정조는
보경스님으로부터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설법을 듣게되고 이에 크게 감동,
부친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절을 세울 것을 결심하면서
경기도 양주 배봉산에 있던 부친의 묘를 천하제일의 복지(福地)라 하는 이곳 화산으로 옮겨와 현릉원(뒤에 융릉으로 승격)이라 하고,
보경스님을 팔도도화주로 삼아 이곳에 절을 지어
현릉원의 능사(陵寺)로서 비명에 숨진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수호하고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습니다.
낙성식날 저녁에 정조가 꿈을 꾸었는데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했다 하여 절 이름을 용주사라 불렀고
그리하여 용주사는 효심의 본찰로서 불심과 효심이 한데 어우러지게 되었습니다.
용주사는 불교가 정치적·사회적으로 억압을 당하고 있던 당시에 국가적 관심을 기울여 세웠다는 점에 역사적 의미를 갖습니다.
조선전기에는 고려의 전통을 이어,
왕이나 왕실의 무덤을 수호하고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한 사찰이 간혹 세워지기는 하였으나, 조선후기에
와서 사림세력이 부각되고 성리학이 성행하면서 왕실에서의 사찰건립이 쉽지 않았던 것입니다.
용주사를 마지막으로 하여 조선왕조에서의 왕실의 원찰은 더 이상 세워지지 못했으며
이처럼 사회적 여건이 좋지 못하던 시대에 거대한 왕실의 원찰이 세워지게 되었던 연유는
정조의 지극한 효성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용주사는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수호하고 그의 명복을 비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인 것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용주사는 창건이후 지금까지 가람의 구조가 크게 변모되지 않고,
창건당시의 상량문을 비롯하여 발원문등 용주사의 창건과 관련된 문헌 자료들이 많이 남아 있는 편입니다.
용주사는 칠성각과 제각, 대웅보전, 승당과 선당, 천보루와 외삼문을 중심골격으로 하여 가람이 구성되었고,
각 전각의 내용에 따른 의미를 살펴본다면,
먼저 절이 중심이 되는 건물을 대웅보전으로 하고 거기에는 석가여래를 주존으로 하여 좌우에 아미타여래와 약사여래를 모셔놓았습니다.
대영웅 석가모니불과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아미타불, 그리고 무병장수를 발원하는 약사여래불을 모신 것은
당시의 보편적인 일이었기에 용주사가 능사이기는 하나 여타의 사찰과 특별히 다른 점은 없습니다.
대웅보전은 전면 3칸, 측면 3칸이 18세기 전형적인 양식적 특징을 보이고
수미단의 화려한 장식, 본존불 상부의 용두 조각, 닫집 주변의 비천상 조각 등은 세련미와 장엄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단부, 즉 기단과 초석은 장대석 기단에 방형과 원형이 이중초석으로 되어있어,
당시 일반사찰이 잡석 기단에 자연석 주초를 쓰고 있는 점과 크게 대조됩니다.
보통 장대석 기단과 이중초석은 관청건축에서도 비교적 격이 높은 건물에만 사용되었던 것입니다.
그밖에 기단 상면을 전돌로 깔았고,
지붕의 취두와 용두, 학과 용을 새긴 막새기와 등에서 관 건축의 특성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건물은 사원 건축으로서의 일반적 보편성과 아울러 궁궐건축의 특수성도 함께 지니고 있습니다.
대웅보전의 왼편에는 6칸의 칠성각과 12칸의 향로전이 있었고,
오른편에는 6칸의 제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칠성각은 시방칠등각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향로전은 언젠가 소실된 후 본래 12칸이던 건물 규모를 6칸으로 축소하여 봉향각으로 다시 세웠다가
1993년에는 천불전으로 고쳐 지어졌습니다.
향로전은 노전(爐殿)이라고도 하는 불전의 부속건물로 불전의 일상예불과 주요 불교신앙행사의 준비를 하는 곳이며,
이러한 일상예불은 노전스님이 담당합니다.
대웅보전 오른편에 제각은 사도세자의 위패를 모셨던 곳으로 추측되는 건물이나, 한국전쟁때 불타 없어졌고,
지금은 서고로 쓰이는 새로운 건물이 세워졌으며
호성전, 또는 축성전으로 불리우던 이 제각의 소실은 용주사의 창건의미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는데,
다만 현재 대웅보전에 있는 목조감실이 위패를 모셔놓았던 것으로 생각되어 그 자취를 짐작할 수 있게 합니다.
두 번째 단에는 천보루와 승당 및 선당이 위치하고 있으며,
천보루는 아래층을 모두 돌기둥으로 쓰고 있으며,
누각의 2층은 삼면을 난간으로 돌리고 4각으로 반듯하게 다듬은 장초석과 지붕위의 용두 등은
조선시대 사찰건축에서 보기 어려운 요소로 관 건축의 취향을 느낄 수 있으며
누각건물 자체는 일반사찰의 누각과 그 유형을 같이하여
사찰건축과 관 건축의 모습이 절충된 외관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승당과 선당은 천보루의 좌우에 위치하여 대웅보전 앞 중정을 구획짓고 있으며,
천보루의 양옆에서 각각 통할 수 있는 행각과 문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절의 중앙부에 □모양의 건축구조로 쌍둥이처럼 대칭을 이루어 지어진 두 건물은 각각 39칸이나 되고 있어서
용주사가 선종사찰로서 적지않은 승려가 이곳에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승당과 선당은 지금 나유타료와 만수리실로 불리웁니다.
아랫단의 삼문은 좌우로 줄행랑이 달려 있어 일반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를취하고 있는데,
이는 육상궁과 같은 별묘(別廟)의 삼문형태입니다.
또한 용주사의 가람구조는 조선시대에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던 능사로서
봉선사와 봉은사의 구조와 흡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이상의 내용은 용주사 홈피에서 가져왔습니다.
더 필요한 사항이 있으면 용주사 홈피를 참고하세요.
아주 내용있게 만들어진 홈피입니다.
'如是我見 寫而不作 > 우리강 우리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삼남길 8구간 (0) | 2014.02.28 |
---|---|
경기도 삼남길 7구간 (0) | 2014.02.28 |
경기도 삼남길 6구간 (0) | 2014.02.27 |
경기도 삼남길 5구간. (0) | 2014.02.27 |
경기도 삼남길 4구간 (0) | 2014.02.26 |